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남도의 백합화 문준경 전도사


문준경.jpg


나는 죽어도 좋으니 내 자식(성도들)은 살려 달라!

 

문준경 전도사는 섬 선교의 어머니이자 신앙의 순수함을 지키려는 모습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문준경 전도사님은 성결교단에는 알려져 있지만, 한국 교회에는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다6.25사변 때 공산당에게 전남의 낙도 증동리 모래사장에서 59세의 일기로 순교하신 분이다


문전도사님은 친정도 시댁도 꽤 잘사는 집안이었다. 열일곱살 때 문씨 집안에서 증동리 정씨 집안으로 시집왔는데, 결혼 초야(初夜)부터 버림받고 며칠 안 되어 신랑이 집을 나가 다른 섬에서 소실을 얻고 살림하면서부터 잊혀진 여인이 되었다


시집에서 20년을 살 때, 길쌈하고 바느질하며 들일하고 부엌일하며 극진히 시부모님을 모셨다. 효부라고 소문이 자자했으나 피눈물 나는 시집살이도 참아야 했다. 손재봉틀로 삯바느질해서 송아지를 여러 마리 사서는 여러 집에 나누어 주었다가 크면 이익을 서로 나눴는데, 모은 돈은 남편이 가져다가 딴 살림하여 소실과 사는데 써버렸다


하도 한이 맺혀서 기도문을 써서 천지신명에게 소지(燒紙)를 올린 일도 한 두 번이 아니었다 한다. 불쌍한 딸자식처럼 측은하게 사랑해주었던 시아버지가 그에게 글을 가르쳐주었다. 땅바닥에 글을 쓰고 지우며 글을 익혀 책을 읽기 시작했다. 그러던 가운데 시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셨다


삼년상()을 치르고 목포에 사는 오라버니의 권유로 셋방 하나를 얻어, 20년 시집생활을 청산하고 손재봉틀 하나를 가지고 도시로 올라왔다. 그후 이성봉 목사의 전도로 주님을 영접(1927)한 후 목포 북교동교회에 입교했으며, 경성성서신학원(현재의 서울신학대 전신)을 졸업한다.


성결교단의 오순절 부흥운동으로!

그 무렵 성결교단에는 오순절 같은 부흥운동이 일어났고, 목포에는 북교동교회에서 이성봉 목사님이 부임하여 축호전도니 하며 부흥성회에 불이 붙은 때였다. 예수님을 만났다


이성봉 목사님이 그에게는 직접적인 천사였다. 천국이 있었다. 눈물의 샘이 터졌다. 향유 담은 옥합을 가지고 예수의 뒤로 발 곁에 서서 울고 눈물로 그 발을 적시며 머리털로 씻고 입 맞추었던 여인 속에서 문 전도사님의 삶의 영상을 찾을 수 있었다


늦게야 예수님을 만나나 그 분에게는 밤낮의 구별이 없었다. 밤을 살고 새벽을 살며 열심히 배우고 교회를 섬기며 전도를 했다. 세례를 받고 집사가 되었다. 그 나이 37세 때였다. 신앙성장의 속도가 빠를 수밖에 없었다


교회집회, 장례식, 혼인식 때면 문 집사님은 그 특유의 낭랑한 목소리로 특송을 했다. 일가친척, 친지들 집을 칡넝쿨 같은 연줄을 타고 행상여인같이 축호전도로 누볐다


첫 전도여행을 암태면의 친정으로 떠났다. 20년 만에 집을 찾은 불쌍한 생과부 딸을 맞은 부모님의 가슴은 아팠다. 골수 유교전통의 아버지께 전도하기란 무리한 일이었다. "네가 시집가서 고생하더니 서양귀신 들려 실성했구나."하고 오물을 퍼다 머리 위로 퍼부으면서 "썩 물러가라."할 정도였다. 길을 가며 찬송하고 꿈속에서도 찬송했다


주님의 사랑 때문에, 한 맺힌 인생 때문에 눈물의 샘은 마를 날이 없었다. 경성성경학교는 성결교신학교였다. 6개월은 전도실천하고, 6개월은 공부하는 6년제 학교였다. 문 전도사님은 처음에는 청강생이었으나 뒤에 원입생이 되었다. 물론 고학이었다


마늘장수, 물장수, 삯바느질 등 온갖 일을 했다. 고되고 허기졌지만 꿈만 같았다. 그의 기숙사 방은 '사랑의 방'으로 소문이 났다. 여학생들이 어머니처럼 따랐다. 그의 삶은 항상 사도행전의 원색적인 신앙생활이었다


한 번은 병든 홀어머니 때문에 울고 있는 여학생을 보고 단 하나의 재산인 손재봉틀을 들고 나가 팔아서 100원을 마련해주었다. 또 한 번은 유일의 유산인 명화병풍을 200원에 팔아 딱한 신학생을 도왔다. 이런 일화도 있다. 6개월의 인턴 실습을 마치고 목포역으로 돈 없이 가고 있었다. 학교가 시작되었기 때문이었다


사과 행상하는 여 집사님이 "돈도 없이 나왔지라우?"라고 말했다. 여집사는 문 전도사님에게 돈 한 푼 없음을 알고 있었다. 문 전도사님은 "사람이 가지, 돈이 간당가?'라고 대답했다. 그 여집사님이 학비를 마련해주었다. 이것이 그 분 삶의 연속이었다.


신안군 21개 면을 순회, 교회개척

전도의 열정이 남달라 문전도사는 나룻배를 타고 전남 신안군 21개 면을 순회하며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개척했다. 초등학교도 다닌 일이 없고, 음악을 배운 적도 없지만, 그 분 특유의 낭랑한 목청으로 당시 이성봉 목사님이 많이 부르시던 허사가나 부흥성가, 천당가를 부르면, 우리 집 마당으로 동네 아낙네들과 어린이들과 강아지까지 다 모였다. 그러면 그 분은 일장(一場) 전도설교를 시작하곤 했다


열한 개 섬을 24시간 이 섬에서 저 섬으로, 이 마을에서 저 마을로, 이 집에서 저 집으로 나룻배를 타고 건너다니셨다. 그 분의 발이 닿지 않은 곳이 없었다. 지나가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섬사람들에게 그 분은 예수의 증인이었고 편지였다


증동리교회를 세울 때에는 시숙(媤叔)과 전도 받은 시집 친척들, 이만신 목사님 자당(慈堂)을 포함하여 20여 명 성도들과 함께 한 달 동안 목재와 기와를 이어 나르고, 터 닦고 흙 일구느라 손발이 터졌다. 그렇게 하여 대초리, 방충리, 우전리, 병풍리, 진리, 재원 등 많은 교회들이 그 분의 몸으로 세워졌고 또 지교회들도 세웠다


문 전도사님이 전도해서 키운 성결교 중진 목사인 이만신, 이봉성 목사 외 10여 명의 목사님들, 그들의 제자의 제자들이 오늘도 그 순교정신을 이어 복음의 씨앗을 부리고 있다. 진리교회에서는 그가 키운 이판일 장로, 이판성 집사의 두 가정, 열세 명이 순교했고, 유일한 유족인 이인재 목사님은 그 뒤를 이어 목회를 하고 있다


그가 세운 교회들은 일제 때 성결교단 폐쇄령으로 친일 앞잡이들이 빼앗아 경방단 본부로 사용했다. 그는 신사참배 거부로 시달림을 받았다. 성도들이 비밀 예배를 드릴라치면 골목에서 폭행을 당하기 일쑤였다. 그는 과로와 영양실조로 심한 각혈을 하며 사경을 헤매기도 했다


공산당이 들어오면서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하던 사람들은 빨갱이로 ???온갖 박해와 폭행을 자행했다. 6.25 직전에는 예레미야의 '북에서 남으로 기울어진 끓는 가마'의 경고를 하며 어느 여인보다 많은 우국의 눈물을 흘렸다. 그 분은 자신의 순교를 예감했는지 미리 관을 짜놓고 수의를 손수 만들어 놓았었다.


마을의 목자, 만인의 어머니!

그 분의 교회나 사택은 차라리 목민센타였다. 무엇이나 의논하고 돌봐주는 곳이었다. 그 집은 항상 너 댓 명씩 귀신들린 여인, 반신불수 되어 쫓겨난 오갈 데 없이 버려진 여인들의 숙소였다. 대소변을 받아내느라 방에서는 악취가 났다


문 전도사님은 밤낮을 교회에서 살면서 새벽같이 큰 바랑 같은 것을 들쳐메고 나가 누룽지나 잔치집, 제삿집의 음식을 걷어서 가난한 집에 나눠주는 '대신 거지'였다. 바랑 속에는 김기약이나 연고, 민간 비방약 같은 것이 듬뿍 있어서 병자들을 심방해 부담 없이 약을 먹이고 발라주고는 만져주고 기도를 하였다


병이 소문나게 잘 나왔다. 신 불신(信 不信)을 가리지 않았다. 초상집도 찾아가고 싸움하는 집도 찾아갔다. 모두의 가난과 고통에 자기 피부를 맞대고 살았다. 그 분은 산파는 아니었으나 아기를 받는 데는 누구보다 명수였다. 그 마을은 미신이 많은 곳이었다. 재앙을 입고 동티가 나면 무당을 불러 굿하는 것이 행인데도 많은 집에서 무당 대신 문 전도사님에게 기도를 청했다


누구는 그가 무당 같다고 했다. 나는 "이보다 더 거룩한 무당도 있는가?"라고 했다. 그는 그 마을의 목자였고 간호사, 산파, 만인의 어머니였다. 일제시대 이 마을에 장질부사(염병)가 돌아 많은 사람이 죽어갔다. 전염이 무서워 버려진 환자들이 많았다. 가족들조차 시체 치우는 일을 기피했는데, 문 전도사님이 "나는 어차피 홀몸이니 죽어도 부담이 없다."며 환자를 돌보고 시체를 매장한 이야기는 소문난 미담으로 전해진다.


백사장의 순교

6.25 당시, 남편과 소실이 붙잡혀 있는 감옥에 매일같이 세탁이니 음식이니 뒷바라지를 해 모두를 감격시키셨다. 지방 빨갱이들은 문 전도사님이 모두의 존경이 크므로 직결 처분을 못하고 상부인 목포 내무서로 이송했는데, 목포는 이미 빨갱이들이 도망가고 없어서 자동 석방이 되었다


그런데 문 전도사님은 교인들을 못 잊고 특히 양딸 삼은 백 전도사님을 못 잊어 모두가 말리는데도 도살장 같은 증동리로 되돌아와서 붙잡혀 모래밭 사형장으로 끌려갔다. 죄목은 새끼 많이 깐 씨암탉이란 것이었다. 찔리고 맞으며 개처럼 끌려갔다. 가상(架上)의 칠언(七言)처럼 사뭇 기도를 드리는 소리가 들렸다


문 전도사님이 백 전도사님만은 살려달라고 애원하여 형지(刑地)에서 살아 돌아올 수 있었다. 그 분의 모습은 십자가상에서 어머니를 부탁하신 주님을 연상케 했다. 백 전도사님은 그 분을 못잊어 3년 동안 흰 소복을 입었고, 지금도 새벽마다 눈물로 교회 마룻바닥을 적신다


그 백 전도사님은 낙도 중의 낙도, 문 전도사님이 세운 재원교회를 지키고 계신다. 1950105, 하늘에는 먹구름이 끼고 파도소리도 침묵하는 칠 흙의 심야에 그 분이 30년을 살았던 백사장으로 끌려갔다


죽창으로 찔리고 발길로 채이고 총대로 찍히어 반죽음이 되면서도 사뭇 저들을 용서하라고 기도하는 모습에서 스데반과 예수님을 볼 수 있었다. 몸이 벌집이 되기 전 "주님, 내 영혼을 받으소서."라고 기도했다. 문 전도사님이 순교현장에서 드린 최후의 기도였다. 이 때 문준경 전도사님은 59세였다. 현재 신안군 증동리는 섬 주민 전원이 그리스도인으로 순교자의 믿음을 이어가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19 이웃을 사랑하는 삶 그것은 곧 생명을 살리는 것! file kim 2015.04.04
118 we are the reason(우리 때문에)_팀_부활절(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file kim 2015.04.04
117 한기홍 목사 [빛과 소금의 삶] file kim 2015.03.31
116 탈무드가 전하는 자녀교육 가이드69 file kim 2015.03.31
115 윤사무엘 목사 [다 이루었다] file kim 2015.03.31
114 소망 없는 은둔의 땅 조선에 부활절의 첫 복음! file kim 2015.03.31
113 험한 십자가 능력 있네! file kim 2015.03.31
112 영광교회 김영언 목사 [한 영혼을 위하여, 주님 부르시는 그 곳에...] file kim 2015.03.26
111 이슬람 남성들의 포교 전략, 한국 여성들과 결혼하라! file kim 2015.03.26
110 한마디 말이 사람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한다. file kim 2015.03.25
109 예수님 안에서 늘, 긍정적으로! file kim 2015.03.25
108 순교자, 윌리엄 틴테일(KJV 성경 번역) file kim 2015.03.25
» 남도의 백합화, 문준경 전도사! file kim 2015.03.23
106 기독교 역사와 사순절의 의미 file kim 2015.03.23
105 긍정의 습관 만드는 말 한마디, 즐거운 하루 되세요! kim 2015.03.23
104 빛과 소금의 삶 한기홍목사 file wgma 2015.03.23
103 홍수환장로, 옥희 권사 부부의 인생역전! file kim 2015.03.19
102 [죤 파이퍼] 하나님의 섭리 file kim 2015.03.19
101 평양의 사울, 이기풍 목사 file kim 2015.03.19
100 십일조, 축복의 선택 [아샤르] file kim 2015.03.12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Next
/ 33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TALK